아따, 과자 봉지 뒷면이 진짜배기요!
내가 먹는 음식에 어떤 성분이 들었는지 아는 것은 소비자의 당연한 권리랑께.
과연 내가 즐겨 먹는 이 과자에는 어떤 첨가물이 들어있을까라우? 또, 혹시라도 예전에 안전 문제로 회수된 적은 없는지, 그 모든 비밀 기록을 파헤쳐볼 수 있당께요.
인자 마트 가기 전에, 핸드폰으로 먼저 성분표부터 확인하는 똑똑한 소비자가 되어보시요.
먹는 것이 바로 나를 만드는 법이요.
요 아래서, 식품안전나라 공식 사이트로 바로 가보시요.
- 내 몸은 내가 지켜야 한다는 전라도 아재가 -
과자나 음료수 사면서 뒤에 적힌 성분표 한번씩 보시죠? '탄산수소나트륨', '합성착향료' 같은 어려운 이름들 보면서 '이거 먹어도 괜찮은 건가?' 하고 찝찝할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내가 먹는 과자의 영양성분이나, 정체 모를 식품첨가물이 뭔지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정부 공식 사이트와 앱을 싹 정리해봤습니다. 이제 찝찝해하지 말고 직접 확인해보세요.
1. 과자 영양성분, 원재료 전체가 궁금할 때
- 식품안전나라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가장 추천)
여기가 국룰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운영하는 곳이라 제일 정확해요. 과자 이름(예: 새우깡)만 검색하면, 칼로리, 나트륨 같은 영양성분이랑, 원재료, 알레르기 유발 성분 정보까지 다 나옵니다.
2. '이 첨가물은 뭐지?' 특정 성분만 궁금할 때
- 식품첨가물 스마트인포 (앱 추천)
성분표에 있는 어려운 첨가물 이름의 정체가 궁금할 때 쓰는 앱입니다. '아스파탐' 같은 첨가물 이름을 검색하면, '이건 감미료고, 어디에 쓰인다' 하고 바로 알려줘서 아주 편합니다. 구글플레이나 앱스토어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내가 자주 먹는 과자나 라면의 영양성분이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식품안전나라에서 검색해보세요. 웬만한 건 다 나옵니다.
3. ★꿀팁★ 활용 방법
예를 들어, 아이 과자를 사줄 때, 포장지 뒷면을 볼 필요 없이 '식품안전나라'에서 미리 검색해서 나트륨이나 당류 함량을 확인하고, 모르는 첨가물이 있으면 '스마트인포' 앱으로 바로 검색해보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세 줄 요약
1. 과자, 음료수 등 가공식품의 전체 영양성분과 원재료는 '식품안전나라'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2. 이름 모를 식품첨가물의 정체가 궁금할 땐 '식품첨가물 스마트인포' 앱으로 검색하면 바로 나옵니다.
3. 두 가지 모두 정부(식약처)에서 운영하는 거라, 정보가 가장 정확하고 믿을 수 있습니다.